JAR (Java Archive) 파일은 Java 프로젝트의 클래스 파일과 리소스를 압축하여 하나의 파일로 패키징하는 방법입니다. JAR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aven을 사용하는 경우:

   - Maven은 프로젝트 빌드 도구로서 JAR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 Maven 프로젝트의 `pom.xml` 파일에 빌드 구성을 작성합니다.
   - `pom.xml` 파일에 JAR 패키징을 위한 `<packaging>` 요소를 `jar`로 설정합니다.
   - Maven 명령어인 `mvn package`를 실행하여 JAR 파일을 생성합니다.
   - `target` 디렉토리 내에 생성된 JAR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Gradle을 사용하는 경우:

   - Gradle은 빌드 자동화 도구로서 JAR 파일 생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 Gradle 프로젝트의 `build.gradle` 파일에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 JAR 파일 생성을 위해 `jar` 플러그인을 추가하고, 관련 설정을 작성합니다.
   - Gradle 명령어인 `gradle build`를 실행하여 JAR 파일을 생성합니다.
   - `build/libs` 디렉토리 내에 생성된 JAR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직접 컴파일하는 경우:

   - 컴파일러 명령어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JAR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클래스 파일을 생성합니다.
   - 클래스 파일과 필요한 리소스 파일을 JAR 파일로 패키징합니다.
   - 컴파일된 클래스 파일과 리소스 파일을 JAR 파일로 압축하고, MANIFEST.MF 파일을 추가합니다.
   - 압축된 JAR 파일을 실행 가능한 JAR 파일로 만들기 위해 실행 클래스를 지정합니다.
   - 컴파일러나 빌드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JDK에 포함된 `jar` 명령어를 사용하여 JAR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은 일반적인 JAR 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한 것이며, 프로젝트의 종류와 사용하는 빌드 도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 도구 또는 환경의 문서를 참조하여 해당 도구에서 제공하는 JAR 파일 생성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Maven VS Gradle


Maven과 Gradle은 둘 다 프로젝트 빌드 및 종속성 관리 도구로서 사용되지만, 몇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1. XML vs. Groovy/Kotlin DSL:
   - Maven은 XML 기반의 설정 파일인 `pom.xml`을 사용합니다. 프로젝트의 구조, 종속성, 빌드 설정 등을 XML 요소로 정의합니다.
   - Gradle은 Groovy 또는 Kotlin 기반의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을 사용합니다. DSL은 좀 더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스크립트 형식으로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선언적 vs. 명령적 접근:
   - Maven은 선언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합니다. 프로젝트의 의존성이나 빌드 설정을 선언하고, Maven이 해당 설정을 기반으로 빌드를 수행합니다.
   - Gradle은 명령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개발자는 빌드 스크립트에서 각 작업에 대한 명령을 직접 작성할 수 있으며, 빌드 동작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3. 생산성과 확장성:
   - Gradle은 더 유연하고 강력한 기능 세트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더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Groovy 또는 Kotlin을 사용하여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하면 매우 유연하고 표현력이 뛰어난 빌드 스크립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Maven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초기 설정이 쉽고, 기본 설정을 사용하는 경우 많은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4. 생태계:
   - Maven은 매우 넓은 커뮤니티와 많은 플러그인, 리소스,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Maven 중앙 저장소는 수많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와 종속성을 호스팅하고 있으며, 이를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ven을 사용하면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표준적인 빌드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Gradle은 Maven과 비슷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최신 기술과 동향에 더 빠르게 적응하고 있습니다. Gradle은 Groovy 및 Kotlin DSL을 사용하여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우 유연하고 표현력이 뛰어난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Gradle은 다양한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고 빌드 프로세스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발자의 선호도, 프로젝트의 특성, 조직의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여 Maven과 Gradl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Maven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조로 프로젝트를 빠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미 Maven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Gradle은 유연성과 확장성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적합하며, 더 강력한 기능과 DSL을 활용하여 빌드 프로세스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선언적 접근방식 vs 명령적 접근방식


선언적 접근 방식과 명령적 접근 방식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도구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1. 선언적 접근 방식(Declarative Approach):
   - 선언적 접근 방식은 "무엇(What)"을 수행할 것인지를 명시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법은 도구나 프레임워크가 알아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 프로그래머는 목표를 선언하고 원하는 결과를 기술합니다. 그러면 도구나 프레임워크는 이를 해석하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 Maven은 선언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프로젝트의 의존성, 빌드 구성, 배포 설정 등을 XML 기반의 POM(Project Object Model) 파일에 선언합니다. Maven은 POM 파일을 해석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고, 개발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설정과 의존성을 정의합니다.

2. 명령적 접근 방식(Imperative Approach):
   - 명령적 접근 방식은 "어떻게(How)" 수행할 것인지를 세부적으로 명시하는 방식입니다.
   - 프로그래머는 각각의 단계와 명령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원하는 작업을 달성합니다.
   - Gradle은 명령적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Groovy 또는 Kotlin 언어를 사용하여 세부 단계와 작업을 명시적으로 작성합니다. Gradle은 이러한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선언적 접근 방식은 개발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신경 쓰지 않고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반면, 명령적 접근 방식은 개발자가 세부적인 작업을 직접 제어하고 특정 작업의 순서와 실행 방법을 정확히 지정할 수 있습니다. 어떤 접근 방식을 선택할지는 프로젝트의 특성과 개발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IT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atch]  (0) 2023.06.02
[Spring Boot]  (0) 2023.06.02
[Spring] Interceptor  (0) 2023.06.02
[SPRING] 어노테이션 설정  (0) 2022.01.05
[SPRING] 의존성 주입  (0) 2022.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