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및 사용법

X-윈도우 특징과 구성요소

 

개념과 특징 

 - 리눅스 환경의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해 GUI 제공 
 -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
 - X-윈도우는 X11, X, X Windows System 이라고 함
 - 오픈데스크톱 환경으로 XDE, GNOME< XFCE 등


 - 출현배경

Athena (아데나) 프로젝트 - 1984년, IBM과 MIT, DEC Athena(아데나) 프로젝트 통해서 BOb Scheifler와 Jim Gettys가 X-윈도우 최초 개발
- 1986년, Bob Scheifler가 오픈소스 프로젝트 디자인 만듬
- 1987년, 오픈소스 프로젝트 하에 X11 발표
x 컨소시엄 - 1988년, 여러 컴퓨터 제조업체로 구성
- x11 버전이 처음 개정되어 x11r2에서 x11r6까지 발표
- x11r6.3 끝으로 x컨소시엄 해체
오픈그룹 1996년, 오픈소스프웨어 재단괴 x/open으로 형성된 그룹
x11r6.4 발표
X.org 1999년 오픈그룹을 기반으로 2004년에 x.org재단 설립
2004년 9월 r116.8 발발표

 

X-윈도우 특징
 -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 지원
 - 이기종 시스템 사이 사용 가능
 - 스크롤바, 아이콘,색상 등 그래픽 환경 자원들이 특정 형태로 정의되어 있지 않음
 -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원하는 인터페이스 생성 가능

X-윈도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작동
 -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접근 허용, 클라이언트 간의 자원 공유, 네트워크 메시지 전달, 클라이언트와 입출력 기기와의 중계 담당
 - 클라이언트는 애플리케이션으로 X서버가 제공하는 기능들 이용

 

구성요소 종류

XProtocol - X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메세지 타입, 메시지 교환방법 규정
- request, reply, event 로 구성
- Xlib라는 저수준 인터페이스와 Xtoolkit이라는 상위 인터페이스 사용
Xlib C나 Lisp언어로 만든 XProtocol 지원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윈도우 생성, 이벤트처리, 창 조회, 키보드 처리 같은 라이브러리 제공
XCB Xlib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 Xlib보다 향상된 스레드 기능 지원, 확장성 뛰어남
 - 라이브러리 크기가 작고 단순
 - XProtocol에 직접접근 가능
Xtoolkit Xlib로 스크롤바, 메뉴, 버튼 등의 GUI부품 개발시 효율성 문제 발생
고급레벨의 GUI 생성시 Xtoolkit 이용
- 위젯 : 스크롤바, 메뉴 등 GUI를 구성하는 객체
- Xt intrinsic : weget 이 xlib의 기본함수의 집합
그밖의 툴킷으로 XView, Motti, Qt, KTK등 있음
XFree86 인텔 x86계열의 유닉스 운영체계에서 동작하는 X서버
어떤 목적에 사용하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X 시스템
X86Config XFree86의 설정파일
 - X서버는 XF86 Config 파일을 찾아 읽음
 - 파일위치는 /etc/X11 또는 /usr/X11R6/lib/X11
 - 폰트,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비디오카드, 색상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

. Xconfigurator : 텍스트 터미널에서 쓰는 다른 X 환경 설정
. Xf86config : X를 위한 기본 환경 설정(텍스트 터미널에서 실행)
. XF86Setup : X를 위한 X-윈도우 환경설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한 및 그룹설정  (0) 2019.11.27
VMWare내 CentOS 최초 설정  (0) 2019.11.19
CentOS 설치 + VMWare 생성/설정  (0) 2019.11.19
VMWare Workstation 설치  (0) 2019.11.18

타이틀 클릭시 상세 이동

 

ㅇ 소유권(Ownership)

  • chown : 파일, 디렉터리 사용자 소유권과 그룹 소유권 변경
  • chhrp : 파일,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만 변경 ( change group 줄임말, 그룹소유권만 변경가능)

 

ㅇ 허가권(Permission)

  • chmod : 파일이나 디렉터리 접근허가권 변경
  • umask : 새로생성 파일,디렉터리 기본허가권 값을 지정 (파일 기본 666 ,디렉터리 기본 777) 

 

ㅇ 특수권한 

  • SetUID : 프로그램 실행하는 동안 프로세스는 파일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
  • SetGID : 프로그램 실행하는 동안 프로세스는 파일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
  • Sticky bit : 공용 디렉터리 사용할때 설정

ㅇ디스크 쿼터(Disk Quota)

  • quotaoff : 쿼터 서비스 비활성화
  • quotacheck : 파일 시스템 디스크 사용상태 검색
  • edquota :  편집기를 이용, 사용자나 그룹에 디스크 사용량 할당
  • setquota :  명령행에서 직접 사용자나 그룹에 디스크 사용량 할당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Windows  (0) 2019.12.13
VMWare내 CentOS 최초 설정  (0) 2019.11.19
CentOS 설치 + VMWare 생성/설정  (0) 2019.11.19
VMWare Workstation 설치  (0) 2019.11.18

1. VM Ware 실행

2. Software UPdates > Download and Install

3. 언어선택 : 한국어, 계속진행(C)

4. 영어 추가

 - Keyboard > + (추가) > 영어(미국)

5. 네트워크 설정

ㅇ NTP(Network Time Protocol) : 네트워크에 분산된 다수의 시스템들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동 시스템들 간에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면, 시스템 장애 처리나 성능 카운터, 분석 또는 로깅등에서 문제 발생

 

6. 설치소스

 - 자동감지 설치 미디어(A) > 확인(V) 

 - 추가 리포지터리 > + 하여 New_Repository

ㅇ 저장소(repository) 서버주소 변경(선택)

 - 저장소는 설치하는 배포본에서 제공하는 각종 업데이트 패키지들 저장되는 장소

 - 명령어 yum이 업데이트 파일들을 공급 받는 저장소 서버를 변경

 - 기본적으로 배포판에 주 서버들이 등록되어있으나, 국내 서버를 지정하면 효율적인 업데이트 가능

 

7. 소프트웨어  패키지 그룹 선택

  소프트웨어 선택 > 최소설치 > 개발용 툴 

ㅇ 시스템 운영 목적에 맞도록 기본 환경 설정

ㅇ 환경에 따라 설치되는 패키지 그룹 상이 

 - 최소설치 / 인프라 서버 / 기본 웹 서버 / 가상화 호슽 / GNONE데스크탑 등

 

<기타 : 설치목적지>

ㅇ 설치와 관련된 특수 저장장치 설정(선택)

 - SAN(Storage Area NetWork) : 서버와 장치를 Fiber Channel Switch로 연결한 고속데이터 네트워크

 - FCoE(Fibre Channel over Ethernet) SAN : FCoE(Fibre Channel over Ethernet) 프로토콜로 구성된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

 -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크

 - 멀티패스(multipath) :대량의 스토리지 장치와 CPU 사이에 한 개 이상의 경로로 구성

 

8. 설치목적지 

 - 저장소 구성 : Custom > 디스크 추가 > 수동으로 파티션 설정 > 여기를 클릭하여 자동으로 생성합니다.(C)

 

ㅇ 기본저장 장치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필수)

ㅇ 파티션 설정 방법 2가지

 - 자동 파티션 설정

 - 수동 파티션 설정 : 파티션의 크기와 파일 시스템을 결정해야함

ㅇ 파티션은 기본적으로 루트(/)파티션과 스왑 파티션만으로도 운영이 가능

 - 스왑 파티션은 현재 RAM의 2배로 설정

 

9. Kdump설정 (선택)

 

 - 커널 크래시(crash)덤프 매커니즘

 - 커널 충돌 발생시, 시스템에서 정보 수집하여 충돌 원인 규명하는 자료 제공

 - 시스템 운영 중 장애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 Kdump의 물리적 메모리 설정

 

10. 네트워크&호스트 : 이더넷 "켬"

네트워크 설정과 호스트명 지정

 - 고정ip또는 유동ip 주소 환경 설정

 - 네트워크를 위해 필요한 주소 정보 (ip주소 / 서브넷마스크/게이트웨이 주소/ DNS 서버 주소)

 

 

설치시작(B)

Root 암호설정

 

리눅스 설치완료! 재부팅(R)을 클릭하여 재부팅 실행

재부팅 완료 후 계정 접근
- user : centos / centos

- root : root / root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Windows  (0) 2019.12.13
권한 및 그룹설정  (0) 2019.11.27
CentOS 설치 + VMWare 생성/설정  (0) 2019.11.19
VMWare Workstation 설치  (0) 2019.11.18

Cent OS 설치

 

1. CentOS 홈페이지 접속후 다운로드

https://www.centos.org/

 

CentOS Project

The CentOS Project The CentOS Project is a community-driven free software effort focused on delivering a robust open source ecosystem around a Linux platform. We offer two Linux distros: – CentOS Linux is a consistent, manageable platform that suits a wide

www.centos.org

2. Get CentOS Now > CentOs Linux DVD ISO 

3. mirror 사이트에서 url아무거나 한개 선택해서 다운받기

- 상단(빨간영역)이 현재 지역에서 그나마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 받을수 있음 

 

 

-----------------------------------------------------------------------------------------------------------------------------------

 

Virtual Machine 생성

1. 설치해둔 VMWare Workstation 실행 >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 I will instal the operating system later 

 

2. operating system : Linux / version : CentOS 7 64bit (내가설치한건.. 8인데..)

3. virtual machine name설정후 Next 

4. Store virtual disk as single file > Next

 . Store virtual disk as single file : 가상 디스크를 단일 파일로 저장

 .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 : 가상 디스크를 여러 파일로 분할

 

5. 설정정보 확인후 Finish

-----------------------------------------------------------------------------------------------------------------------------------

Virtual Machine 셋팅 변경

1. 가상머신 환경설정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2. Virtual Machine Settings > Hardware > Memory : 1024MB

3. Virtual Machine Settings > Hardware > CD/DVD(IDE) > Connection > Use ISO image file

 - 아까 다운로드 받은 iso 경로를 설정후 OK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Windows  (0) 2019.12.13
권한 및 그룹설정  (0) 2019.11.27
VMWare내 CentOS 최초 설정  (0) 2019.11.19
VMWare Workstation 설치  (0) 2019.11.18

1. Window에서 VMWare 홈페이지 이동
  https://www.vmware.com/kr/products/workstation-player/workstation-player-evaluation.html

 

VMware Workstation Player 다운로드 | VMware

2019년 11월 19일(화),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 센터 다음 도약을 위한 준비, vFORUM과 함께 하십시오. vFORUM은 단순한 IT 행사가 아닙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필요한 여정을 안내하는 자리입니다. 지금 등록하기

www.vmware.com

2. Window용 Workstation 15.5 Player 사용해 보기 클릭 (자동 다운로드)

 

3. 그외 동의하고 상업적이용 안함 등.. 체크하고 다운로드 > 재부팅 하면 설치완료!

 

4.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Windows  (0) 2019.12.13
권한 및 그룹설정  (0) 2019.11.27
VMWare내 CentOS 최초 설정  (0) 2019.11.19
CentOS 설치 + VMWare 생성/설정  (0) 2019.11.19

+ Recent posts